「격리마진과 교차마진의 차이」
레버리지 사용에 앞서 마진 유형의 차이를 알고 있어야 한다. 격리마진(Isolated)과 교차마진(Cross)의 차이는 마진콜 시 격리마진은 포지션만 삭제되고 잔고는 유지되나, 교차마진은 포지션과 잔고 모두 없어진다. 안전을 위해서는 격리마진을 선택하자.
Margin Type | 잔고 | 포지션 |
격리마진(Isolated) | 유지 | 삭제 |
교차마진(Cross) | 삭제 | 삭제 |
「레버리지의 이해」
레버리지는 돈을 빌리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만약 나에게 잔고가 있고, 1배의 레버리지를 사용한다면 1만원의 금액만큼만 매수할 수 있다. 하지만 10배의 레버리지를 사용하면 10만원, 100배의 레버리지를 사용하면 100만원만큼 매수가 가능하다.
Leverage | 잔고 | 롱 포지션 |
1배 | 1만원 | 1만원 |
10배 | 1만원 | 10만원 |
100배 |
1만원 | 100만원 |
만약 10배의 레버리지를 사용해서 10만원만큼 매수를 했을 때, 상승과 하락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자. 내가 보유한 돈(잔고)은 1만원이지만 10배의 레버리지를 사용했기에 10만원의 포지션을 유지할 수 있다. 운이 좋아서 2배(100%) 상승했다면 나의 포지션은 10만원에서 20만원이 된다. 그러나 운이 없어 하락하게 되었을 때 10%하락하게 되면 나의 포지션이 10만원에서 9만원이되어 손실금액은 1만원이 된다. 이때 손실금액이 잔고를 넘어가게 되므로 10% 하락하면 자동으로 강제청산(Margin Call)이 된다.
Leverage | 잔고 | 롱 포지션 | 이득 및 손실금액 |
레버리지 10배 | 1만원 | 10만원 | |
100% 상승 | 1만원 | 20만원 | 10만원 |
10% 하락 | 1만원 | 9만원 | -1만원 |
이렇게 하락할 경우 포지션 유지를 위해서는 청산가격을 낮춰야 하는데, 추가매수를 하거나 마진 타입을 교차선택으로 바꾸면 된다. 레버리지는 안쓰는 게 낮지만, 꼭 써야한다면 단기투자 할 때 사용하는 편이 낮다. 단, 거래수수료는 레버리지를 사용한 매수금액을 기준으로 부과되니 주의하자.
'투자 > 가상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화폐 선물거래. 가상화폐 선물거래하는 방법 (0) | 2022.02.1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