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리마진과 교차마진의 차이」

레버리지 사용에 앞서 마진 유형의 차이를 알고 있어야 한다. 격리마진(Isolated)과 교차마진(Cross)의 차이는 마진콜 시 격리마진은 포지션만 삭제되고 잔고는 유지되나, 교차마진은 포지션과 잔고 모두 없어진다. 안전을 위해서는 격리마진을 선택하자.

 

Margin Type 잔고 포지션
격리마진(Isolated) 유지 삭제
교차마진(Cross) 삭제 삭제

 

반응형

 

「레버리지의 이해」

레버리지는 돈을 빌리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만약 나에게 잔고가 있고, 1배의 레버리지를 사용한다면 1만원의 금액만큼만 매수할  수 있다. 하지만 10배의 레버리지를 사용하면 10만원, 100배의 레버리지를 사용하면 100만원만큼 매수가 가능하다.

 

Leverage 잔고 롱 포지션
1배 1만원 1만원
10배 1만원 10만원
100배
1만원 100만원

 

만약 10배의 레버리지를 사용해서 10만원만큼 매수를 했을 때, 상승과 하락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자. 내가 보유한 돈(잔고)은 1만원이지만 10배의 레버리지를 사용했기에 10만원의 포지션을 유지할 수 있다. 운이 좋아서 2배(100%) 상승했다면 나의 포지션은 10만원에서 20만원이 된다. 그러나 운이 없어 하락하게 되었을 때 10%하락하게 되면 나의 포지션이 10만원에서 9만원이되어 손실금액은 1만원이 된다. 이때 손실금액이 잔고를 넘어가게 되므로 10% 하락하면 자동으로 강제청산(Margin Call)이 된다.

 

Leverage 잔고 롱 포지션 이득 및 손실금액
레버리지 10배 1만원 10만원  
100% 상승 1만원 20만원 10만원
10% 하락 1만원 9만원 -1만원

 

 

이렇게 하락할 경우 포지션 유지를 위해서는 청산가격을 낮춰야 하는데, 추가매수를 하거나 마진 타입을 교차선택으로 바꾸면 된다. 레버리지는 안쓰는 게 낮지만, 꼭 써야한다면 단기투자 할 때 사용하는 편이 낮다. 단, 거래수수료는 레버리지를 사용한 매수금액을 기준으로 부과되니 주의하자.

 

 

반응형

「가상화폐 선물거래. 코인 무기한 선물」

▶ 코인 무기한 선물은 만기가 없고 무기한으로 연장을 하는 선물계약 말함. 그래서 만기가 없는 코인 무기한 선물은 현물과 선물의 가격 괴리를 조정하는 펀딩비(Funding Fee)라는 금액이 있는데 8시간마다 포지션 유지비용이 발생하며 롱 포지션을 잡은 사람이 숏 포지션을 잡은 사람에게 지급함

 

▶ 펀딩비(Funding Fee)의 기본개념은 ① 양수(롱→숏) or 음수(숏→롱) ② 펀딩피 ③ 8시간

- 양수면 롱포지션 보유자 가 숏포지션 보유자에게 8시간마다 이자를 준다

- 음수면 숏포지션 보유자가 롱포지션 보유자에게 8시간마다 이자를 준다

 

▶ 코인 무기한 선물의 종류는 2가지가 있으며

① COIN-M은 비트코인과 알트코인을 담보로 잡아 거래하는 계약을 말하며

② USDT-M은 USDT 스테이블코인을 담보로 거래하는 계약을 말함

- 그냥 외우자. COIN-M이 더 위험하다고 하니,   USDT-M으로 하자

 

가상화폐 선물거래. 용어 정의

 

▶ 선물가격은 미래 현물 가격의 기댓값을 말하며

① 콘탱고(Contango) : 선물가격이 현물가격 보다 더 비싼 경우

② 백워데이션(Backwardation) : 선물가격이 현물가격 보다 더 싼 경우

 

▶ 담보를 잡는 방식 차이 마진모드

① 격리마진 : 포지션 진입에 사용한 담보금만 담보로 잡음(초보자는 격리마진으로 설정)

② 교차마진 : 진입한 포지션 외에 지갑에 있는 모든 자산을 담보로 잡으며, 격리마진보다 강제청산을 당할 확률은 낮으나 강제청산 시 모든 자산이 날라감

 

https://ooecor.com/23

 

가상화폐. 선물거래. 레버리지에 대한 이해

가상화폐. 선물거래. 레버리지에 대한 이해 「격리마진과 교차마진의 차이」 레버리지 사용에 앞서 마진 유형의 차이를 알고 있어야 한다. 격리마진(Isolated)과 교차마진(Cross)의 차이는 마진콜

ooecor.com

 

반응형

 

가상화폐 선물거래. 자금 전송 및 이체하는 법

 

바이낸스 거래소에 바로 입금(Deposit)이 가능하면 업비트에서 리플을 구입해서 전송할 필요가 없지만, 현재 해외 코인거래소에 원화나 달러를 직접 입금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불필요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해외거래소 이용 시 3가지 단어는 꼭 기억하자. Deposit은 입금, Withdraw는 출금, Transfer는 전송이다.

 

▶ 국내거래소에서 송금용 코인 구입

① 케이뱅크에 원화 입금

② 케이뱅크에서 업비트로 이체

③ 업비트에서 리플 구입

 

▶ 국내거래소에서 해외거래소로 송금

① 업비트 리플을 해외거래소(바이낸스, 바이비트, 비트겟 등)으로 전송

- 업비트 입출금 메뉴에서 보유한 리플을 클릭하면 해당 화면을 볼 수 있는데, 출금주소와 데스티네이션 태그를 적어야 한다. 해외거래소의 Deposit(입금) 메뉴로 들어가서 해당 코인(여기서는 리플 XRP)의 Address(현물지갑 주소)와 Memo(데스티네이션 태그)를 확인해야 한다. 

 

② 해외거래소에서 리플 XRP/USDT 현물거래 포지션 종료

- XRP/USDT 챠트로 들어가서 보유한 모든 수량을 팔면(SELL) 된다.

 

▶ 해외거래소 내에서 현물에서 선물로 Transfer(전송) 자금이체

① 바이낸스 기준, Wallet에서 Coin은 'USDT'로 하고  from 'Fiat and spot' to 'USDⓢ-M Futures'

② 비트겟 기준, 선물지갑에서 Coin은 'USDT'로 하고 from '코인계정' to 'USDT선물'

 


반응형

'투자 > 가상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화폐 선물거래. 레버리지에 대한 이해  (0) 2022.02.16

+ Recent posts